Analysis

[SmartFarm] 스마트팜코리아 데이터로 생육 유사도 측정 (기획편)

DS쟁이 2025. 4. 20. 00:33

필자는 여러 가지 데이터를 분석하던 중 스마트팜 데이터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데이터를 살펴보고 농민들이 실제로 알고 싶어 하는 내용이 무엇일까? 고민하게 되었고 나와 같은 작물을 재배하는 농장들은 어떻게 식물을 기르고 있는지 생육지표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해한다.

필자도 데이터를 보다보면 해당 데이터가 맞는 생육지표로 수집되었는지 궁금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표준 및 우수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른 농가들의 생육데이터의 유사도를 측정하고 이를 비교하자

✔ 스마트팜 코리아 소개

먼저, 스마트팜코리아 라는 사이트를 소개하려고 한다.

스마트팜코리아는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 운영하는 스마트팜 전용 플랫폼이다.

 

📊 주요 서비스:

  • 스마트팜 데이터 마트
  • 농가 대상 교육 콘텐츠
  • 스마트팜 데이터 분석 서비스 등

아래의 링크로 들어가면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다.

https://www.smartfarmkorea.net/main.do

 

스마트팜코리아

스마트팜코리아

www.smartfarmkorea.net

✔ 생육 데이터 유사도 측정 기획 및 간단한 도식화

농촌진흥청 데이터와 스마트팜코리아의 다른 농가 데이터 또는 내 농가 데이터를 비교하고 생육 유사도를 측정하는 것이 목표다.

생육유사도 측정 도식화

 

1. 먼저 농촌진흥청 데이터와 스마트팜코리아의 다른 농가 생육 데이터를 수집한다.

2, 농촌진흥청의 생육 데이터를 기준으로 다른 농가 생육데이터의 조사 항목들을 추출하고 DTW알고리즘을 실행한다.

3. DTW로 측정된 각 조사항목들의 거리와 가장 안 좋게 나오는 거리(최악의 DTW 거리)를 토대로 0 ~ 100% 사이의 기준값을 생성

4. 각 생육조사항목의 결과들을 시각화하고 이를 보고서 형태 혹은 웹, 앱으로 구현

 

이렇게 4단계로 기획하고 있다.

 

👉 다음 글에서 데이터 수집 및 처리에 대해 다뤄보겠다.

 

🔍 DTW(Dynamic Time Warping):
시간의 흐름이 다르더라도 비슷한 형태를 가진 시계열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알고리즘입니다.
예를 들어, 두 농가의 초장 변화 그래프가 시간차는 있지만 비슷한 패턴이라면 이를 정밀하게 비교할 수 있게 해줍니다.

 

📌 스마트팜코리아 데이터로 생육 유사도 측정 시리즈

2025.04.25 - [Analysis] - [SmartFarm] 스마트팜코리아 데이터로 생육 유사도 측정 (수집&처리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