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Algorithm
- 주기적 실행
- 대시보드
- Python
- 웹앱
-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 solvesql
- cron 스케줄 설정
- DTW
- 리눅스 자동화 스크립트
- 스마트팜코리아
- 데이터분석
- 스마트팜
- 리눅스 crontab 사용법
- 농촌진흥청
- 인터랙티브 차트
- cron과 crontab 차이
- 데이터
- group by
- 생육
- streamlit
- ML
- 유사도
- Programmers
- 공유
- SQL
- 농정원
- 자동화
- 시계열 시각화
- join
- Today
- Total
목록Programmers (4)
Positive-Influence-Data

❗ 본 포스팅은 Programmers의 코딩테스트 연습문제를 활용합니다. 다양한 문제를 풀어보고 싶다면 Programmers를 방문하세요. 주식가격 문제이다. 문제를 보면 그렇게 어려워보이지는 않아보인다. 문제를 해석하면 주식가격이 떨어지지 않은 기간을 구해야함 리스트의 앞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뽑음. 뽑고 남은 원소들과 비교(뽑힌거보다 같거나 크면 카운트) 큐를 이용하면 쉽게 풀린다. 차례대로 1, 2, 3, 1, 2 이렇게 순서대로 뽑히게 되고 각각 뽑힐때마다 뒤에 있는 원소와 비교하면 된다.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solution(prices): answer = [] qu = deque(prices) while qu: count = 0 x = qu.popleft()..

❗ 본 포스팅은 Programmers의 코딩테스트 연습문제를 활용합니다. 다양한 문제를 풀어보고 싶다면 Programmers를 방문하세요. 프로그래머스의 숫자 짝꿍문제이다. 위의 사진처럼 문제가 주어졌는데 문제를 해석해보았다. X하고 Y가 문자열로 주어진다. X와 Y의 공통된 숫자를 뽑아낸다. 뽑아낸 숫자들로 가장 큰 숫자를 만들어서 문자열로 출력한다. 처음에 X,Y를 반복문 돌려서 해결하려고 했는데 문자열로 3백만자가 들어가게 되면 당연히 시간초과가 난다.. 그래도 시도해봤는데 역시 시간초과..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solution(X, Y): X = deque(list(X)) Y = deque(list(Y)) answer = '' for i in X: if i ..

❗ 본 포스팅은 Programmers의 코딩테스트 연습문제를 활용합니다. 다양한 문제를 풀어보고 싶다면 Programmers를 방문하세요. 행렬의 곱셈이라는 문제이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 우리는 행열의 연산을 알아야한다. 고등학교, 대학교때 배운 행렬의 곱셈을 떠올려보자. 행렬의 곱셈이 가능하려면 위의 그림처럼 행렬 A의 행 k와 행렬 B의 열 k가 같아야한다. 그래야 연산이 가능하다. ** 문제에서는 곱할 수 있는 행렬만 주어진다고 했으니 크게 고려할 사항은 아니다. 연산과정을 보면 a11*b11 + a12*b21 이 계산되어 하나의 원소가 만들어진다. 이런식으로 전부 계산하게 된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문제를 풀어야 할까? 1. 연산되어 나오는 행렬의 사이즈(M*N)만큼 전부 0으로 초기화해준..

❗ 본 포스팅은 Programmers의 SQL 고득점 Kit의 문제를 활용합니다. 다양한 SQL 문제를 풀어보고 싶다면 Programmers를 방문하세요. SQL문을 작성하다보면 날짜 형태의 값들을 만날 수 있다. 위의 사진처럼 PRODUCT_ID, IN_DATE, OUT_DATE가 대표적인 예이다. 이런 데이터 타입은 문자열로도 슬라이싱이 가능하다.(SUBSTR로 슬라이싱가능) -- Programmers 조건별로 분류하여 주문상태 출력하기 SELECT SUBSTR(IN_DATE,1,4) FROM FOOD_ORDER; 위 처럼 SQL을 작성하게 되면 '2022'만 쭉 출력되게 될 것이다. 이렇게 문제를 푸는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DATE끼리 비교를 하게 된다면 문자열로 슬라이싱하기가 조금 복잡해질 수 있..